ACM 인증서 발급 이유
ELB, CloudFront를 사용해보려는데 해당 서비스에 HTTPS를 적용하려면 AWS에서 제공하는 ACM 서비스를 통해 SSL 인증서를 발급받아야 가능하다고 해서 발급받기로 했다.
발급 방법
여러울 것 하나 없다.
먼저 ACM의 인증서 요청 페이지로 간다.
추가하려는 도메인을 적고 검증 방법은 DNS 검증 그대로 두고 요청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완료된다.
인증서 ID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온다.
이후엔 도메인 구입처가 Route 53이냐 가비아냐에 따라 다르니 필요한 것을 보고 맞게 설정하자.
* AWS Route 53 서비스를 통해 도메인 구매
Route 53에서 레코드 생성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뜬다.
레코드 생성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뜬다.
내 경우엔 생성하자마자 발급이 완료되서 상태에 발급됨이 뜬 것을 볼 수 있다.
*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매
Route 53에서 레코드 생성 버튼을 누르면 Route 53에서 등록된 도메인이 아니여서 필터에 의해 아무것도 안뜬다.
가비아에서 자신이 등록하려는 도메인 관리 페이지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부분이 있다.
DNS 레코드 설정에 있는 설정 버튼을 누른다.
도메인 관리페이지로 이동되고 아래와 같이 자신의 도메인이 나올 것이다.
맨 오른쪽에 설정 버튼을 누르자.
해당 페이지에서 아래에 있는 레코드 수정 버튼을 누르자.
다이얼로그가 뜰 텐데 그곳에서 왼쪽 아래에 있는 레코드 추가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컬럼이 하나 추가된다.
드랍 다운은 CNAME으로 설정한다.
호스트 이름과 값은 먼저 자신이 발급하려는 인증서의 ID를 눌러 나오는 페이지를 보자.
도메인 부분에 CNAME이름과 CNAME 값이 있을 것이다.
호스트엔 CNAME 이름에서 자신의 도메인을 뺀 값을 넣어주면 된다.
_84ea701980f98fa920b287d10e1dd093.example.com. -> _84ea701980f98fa920b287d10e1dd093
값은 복사한 것 그대로 넣어주면 된다.
저장하고 나오면 모두 완료된 것이다.
기다리고나면 발급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p.s
cafe24의 경우 CNAME 설정에 레코드 부분만 건드릴 수 있어서 방법을 모르겠다.
참고
DNS validation - AWS Certificate Manager
This procedure assumes that you have already created at least one certificate and that you are working in the AWS region where you created it. If you try to open the console and see the first-use screen instead, or you succeed in opening the console and do
docs.aws.amazon.com